닭 / 강 소 천
물 한 모금 입에 물고
하늘 한번 쳐다보고
또 한 모금 입에 물고
구름 한번 쳐다보고 (1937)
이보다 더 간결할 수 있을까. 단 네 줄로 닭의 모든 것이 표현되고 있다. 닭은 물 한 모금 마시고 고개 한 번 들고, 또 물 한 모금 마시고 고개 한 번 든다. 닭이 물을 마시는 이 무심한 행동을 강소천은 무심히 보지 않고 '순간 포착'했다. 그리고 거기에 슬쩍 '하늘'과 '구름'을 집어넣었다. 닭이 물 한 모금 마시고 고개 한 번 드는 것은 하늘과 구름을 보기 위해서라는 것. 이 순간, 시가 탄생했다. 바로 이 시다.
아마도 강소천(1915~1963)에게는 대상의 순간 포착력과 시적 압축에 대한 신념이 있었던 듯하다. "달밤/ 보름달 밤// 우리 집 새하얀 담벽에/ 달님이 곱게 그려 놓은/ 나무// 나뭇가지."(〈달〉) '달밤'에서 시작해 '나뭇가지'로 끝을 맺은 이 시에서도 우리는 강소천의 압축미에 대한 강박을 본다. 보름달이 세상을 훤하게 비추는 밤, 시인은 이 황홀한 '순간'을 '달'에게 바친다. 그러나 달뿐이었다면 이 시의 시적 완성도는 현저히 떨어졌을 것이다. 달은 '흰벽에 그려진 나무 그림자'가 있어 비로소 그 마술적 매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아기는 술래/ 나비야, 달아나라.// 조그만 꼬까신이 아장아장/ 나비를 쫓아가면// 나비는 훠얼훨/ "요걸 못 잡아?"// 아기는 숨이 차서/ 풀밭에 그만 주저앉는다// "아가야,/ 내가 나비를 잡아 줄까?"// 길섶의 민들레가/ 방긋 웃는다."(〈아기와 나비〉)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는 이 시도 마찬가지다. 시인은 아장아장 나비를 쫓는 아기와 그 아기를 따돌리며 도망가는 나비를 포착한 뒤, 거기에 은근슬쩍 길섶의 '민들레'를 끼워 넣었다. 이 민들레가 없었다면 아기와 나비의 쫓고 쫓김 역시 밋밋했을 수도 있다.
김요섭, 박홍근, 최계락, 신지식, 최요섭 등에게 수여된 '소천아동문학상'의 영예가 이야기하듯 강소천이 우리 아동문학계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꿈을 찍는 사진관〉을 비롯하여 수십여권에 이르는 동화책의 저자이자 200여편의 동시를 생산한 시인으로서 그는 50․60년대 우리 문학의 중심축이었다. 특히 함경남도 고원이 고향인 그의 활약은 장수철(평양), 박경종(함남), 박홍근(함북), 박화목(황해도) 등 전쟁 이후 북쪽에서 월남해온 문인들의 작품 활동과 더불어 전후 아동문학계의 촉매제가 되기도 했다. 서울대공원에 〈닭〉을 새긴 '강소천문학비'가 있다.
단 네 줄에 압축된 닭의 '모든 것'
신수정․문학평론가
출생 1915년 3월 16일 사망
1963년 출신지 함경남도 고원
학력 : 함흥영생고등보통학교
직업 아동문학가
1959년-1963년 한국보육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아동문학 강의
경력 1962년 한국문인협회 이사, 아동문학 편집위원 역임
1960년 아동문학연구회 회장
대표작 꿈을 찍는 사진관, 바둑이와 편지, 나무야 누워서 자거라, 시집 속의 소녀
1939년을 전후하여 동화와 아동소설도 쓰기 시작하여 《동아일보》에 《돌멩이》(1940) 《토끼 삼형제》, 《매일신보(每日新報)》에 《전등불 이야기》 등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월남 후에는 피난지 부산에서 독서지도와 글짓기지도 등 아동문학의 보급을 위하여 힘쓰는 한편, 《새벗》 《어린이 다이제스트》 주간(1952), 《아동문학》 편집위원(1962), 한국보육대학 ․이화여대 ․연세대 강사(1959~1963), 아동문학연구회 회장(1960) 등을 역임했다. 대표작으로 《꿈을 찍는 사진관》(소년세계 1954.3) 《호박꽃 초롱》(박문서관 1941) 등이 있다.
'동시 감상 000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동연의 '송아지가 아프면' 감상 (0) | 2010.10.11 |
---|---|
김종상의 '미술시간' 감상 (0) | 2010.10.11 |
제 33 편 '먼지야, 자니?' 이 상 교 (0) | 2010.09.19 |
제 32 편 '봄편지' 서 덕 출 (0) | 2010.09.19 |
제 31 편 '밤이슬' 이 준 관 (0) | 201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