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송 동시 - 제 9 편 섬집 아기 한 인 현
장석주․시인
한인현
1921~1969 함경남도 원산 출신
함흥사범학교 졸업
서울 은석초등학교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동시를 썼다.
소년한국일보에서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동요 2위로 뽑힘.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러 가면
아기가 혼자 남아 집을 보다가
바다가 불러주는 자장 노래에
팔 베고 스르르 잠이 듭니다.
아기는 잠을 곤히 자고 있지만
갈매기 울음소리 맘이 설레어
다 못 찬 굴바구니 머리에 이고
엄마는 모랫길을 달려옵니다. <1950년>
〈섬집 아기〉는 1950년 4월 《소학생》지에 처음 실렸다. 7․5조의 음수율을 고지식하게 따르는 이 정형시의 배경은 섬마을이다. 엄마는 굴 따러 가고 아기는 칭얼대다가 스르륵 잠든다. 아기를 재운 것은 파도소리다. 파도소리가 천상의 화음을 가진 것은 하느님이 작곡한 자장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굴 따던 엄마는 갑자기 아기 걱정에 마음이 급해진다. 그래서 "다 못 찬 굴바구니 머리에 이고" 모랫길을 달려 집으로 간다.
산모가 일을 하지 않으면 안될 만큼 궁핍하다. 아빠는 어디에 갔을까. 돈 벌러 섬 밖으로 나갔을까. 이 시에는 아빠의 행방에 대한 어떤 단서도 찾을 수가 없다. 그러나 낮은 파도소리가 아기의 곤한 잠을 부르는 곳에서는, 그토록 은일함 속에 녹은 평화가 곧 일상인 곳에서는, 불행의 단초가 될 수 있는 "다 못 찬 굴바구니"나 가장의 부재 따위가 감히 엄마와 아기의 행복을 어쩌지는 못한다. 아기건 어른이건 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신뢰가 없다면 깊은 잠은 없다. 잠은 수난들과 위험들 속에서도 안전할 것이란 믿음의 수락이다. 아기의 잠은 곧 이 세계의 안전과 평화의 지표다.
〈섬집 아기〉는 반세기 넘게 이 땅의 아기들이 듣고 자란 '국민 자장가'다. 얼마나 많은 엄마와 아빠들이 아기를 재우려고 이 노래를 불렀을까. 이 시가 제시하는 바닷가 서경(敍景)은 세계 한편에 깃든 깊은 평화와 안전을 배경으로 삼는다. 그것은 자연과 사람 사이의 조화에서 나온다. 파도소리나 갈매기 울음소리는 슬픔과 고통은 눅이고 행복지수는 키우는 자연의 요소들이다. 이때 섬마을은 하나의 이상향이다.
한인현(1921~1969)은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나 함흥사범학교를 나오고 서울 은석초등학교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동시를 썼다. "민, 민들레는 / 꽃 중에서도 장사 꽃. / 큰 바위에 눌려서도 / 봄바람만 불어오면 / 그 밑에서 피고 피는/ 꽃 중에도 장사 꽃."(〈민들레 2〉의 일부)도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큰 바위가 큰 나라, 힘센 존재라면, 민들레는 큰 바위에 눌려 사는 작은 나라, 여린 생명들이다. 누르고 밟아도 민들레는 씩씩하게 뿌리를 내려 꽃을 피운다. 시인은 어린아이들의 힘을, 그리고 광복 뒤 탄생한 대한민국의 힘을 믿었다. 지금도 어디에선가 눌리고 밟히면서도 피어나는 민들레꽃이 있고, 엄마가 부르는 〈섬집 아기〉를 들으며 민들레꽃처럼 잠든 아기가 있으리라.
'동시 감상 000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1 편 담요 한 장 속에 / 권 영 상 (0) | 2010.09.19 |
---|---|
제 10 편 봄 /김 기 림 (0) | 2010.09.19 |
제 8 편 과꽃 /어 효 선 (0) | 2010.09.19 |
제 7 편 엄마가 아플 때 /정 두 리 (0) | 2010.09.19 |
제 6 편 오빠 생각 /최 순 애 (0) | 201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