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 감상 000편

제 6 편 오빠 생각 /최 순 애

가마실 / 설인 2010. 9. 19. 18:15

애송 동시 - 제 6 편 오빠 생각   최 순 애

   가슴 뭉클하게 만드는 단어 '오빠'

                신수정․문학평론가


최순애. 1925년 11월, 12살(13살) 소녀 최순애는 〈오빠 생각〉으로 방정환이 내던 잡지 《어린이》의 동시란에 입선자가 된다. 그 다음 해 1926년 4월, 16세 소년 이원수 역시 〈고향의 봄〉으로 이 코너의 주인공이 된다. 이들은 10년 동안 편지를 주고 받다가 처음 만날 날 이원수는 독서회라는 단체를 통해 불온한 사상을 전파했다는 죄목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된었는데 이들의 사랑은 더욱 깊어졌고 이원수가 감옥에서 출소한 그 다음 해 수원의 최순애 소녀와 마산의 이원수 소년은 서로를 발견하고 급기야 1936년 6월 부부가 된다.


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 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 때

우리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며

비단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기럭 기럭 기러기

북에서 오고

귓들 귓들 귀뚜라미

슬피 울건만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집니다  (1925)


이 시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거의 국민가요 수준에 이른 이 시를 노래한 가수만 해도 여럿이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조용필의 〈오빠 생각〉은 언제 들어도 절창이다. 그러나 이 시가 12살 소녀에 의해 씌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최순애. 1925년 11월, 12살 소녀 최순애는 〈오빠 생각〉으로 방정환이 내던 잡지 《어린이》의 동시란에 입선자가 된다. 그 다음 해 4월, 16세 소년 이원수 역시 〈고향의 봄〉으로 이 코너의 주인공이 된다. 이리하여 수원의 최순애 소녀와 마산의 이원수 소년은 서로를 발견하고 급기야 1936년 6월 부부가 된다. 〈오빠 생각〉과 〈고향의 봄〉의 만남이라고 할까.


이 시 속의 오빠는 뜸북새, 뻐꾹새 등 여름새가 울 때 떠나서 기러기와 귀뚜라미가 우는 가을이 와도 돌아오지 않는다. 오빠의 부재는 계절의 변화를 더욱 민감하게 감지하도록 만든다. 기다리는 사람이 없다면 계절의 변화가 그토록 새삼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오빠는 부재함으로써 오히려 옆에 있을 때보다 더욱 풍부한 존재감을 선사한다. 오빠를 기다리는 누이는 도처에서 오빠를 본다. 뜸북새, 뻐꾹새, 기러기, 귀뚜라미 소리들은 이 부재하면서 현존하는 오빠의 대체물들이다.


이 시가 지금까지도 우리들 가슴을 뭉클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이 '오빠'라는 단어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오빠는 누이가 있어야 성립되는 개념이다. 오빠는 항상 누이의 오빠다. '누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무한한 연약함, 끝없는 보호, 그러면서도 한없이 정결한 그 무엇을 가리키는 말이다. 오빠라고 불리는 순간 우리 모두는 누이를 보호하느라 쓸데없이 진지해지고 어깨에 힘이 들어간 사춘기 소년, 그 태초의 순결한 소년으로 돌아가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오빠가 돌아오기를, 비단구두를 사오기를 기다리며 "아기 버선 한 짝에 밤이 깊어도/ 발 벗고 추워 떨던 어린 내 동생/ 좋아 날뛸 생각에 잠도 안 오네"(〈그림자〉)라고 노래하는 누이는 모든 오빠들의 로망이다. 소년들은 자라 어른이 되고 반백의 중년이 되며 어느 날 하얀 머리의 노인이 될 것이다. 그러나 오빠는 영원하다. 이 시는 우리들의 무의식에 가라앉아 있는 바로 그 오빠들을 불러내는 애절한 '엘레지'에 다름 아니다.